[키르수스 제국] 키르수스 제국 ( 92 판 )
대키르수스국 Großkircusses Reich | |||||||
키르수스 제국 | |||||||
Kircusses Foligerreich | |||||||
1423년 - 현재 | |||||||
| |||||||
국가 | 제국을 위해 기를 들어라 | ||||||
표어 | Aus Schweronia nach Kircuss (슈베로니아에서 키르수스까지) | ||||||
수도 | 카르텔부르크 | ||||||
최대 도시 | |||||||
면적 | 4,550,350km² | ||||||
황제 | |||||||
1423년 - 1436년 | 헤르베르트 1세 | ||||||
1436년 - 1458년 | 에버하르트 1세 | ||||||
1458년 - 1464년 | 에버하르트 2세 | ||||||
1464년 - 1492년 | 아델베르트 1세 | ||||||
1492년 - 1541년 | 헤르베르트 2세 | ||||||
1541년 - 1558년 | 에버하르트 3세 | ||||||
1558년 - 1584년 | 아델베르트 2세 | ||||||
1584년 - 1608년 | 아델베르트 3세 | ||||||
1608년 - 1631년 | 지크프리트 1세 | ||||||
1631년 - 1655년 | 지크프리트 2세 | ||||||
1655년 - 현재 | 헤르베르트 3세 | ||||||
스톰강 협약 | 611년 5월 18일 | ||||||
제국 선포 | 1423년 1월 18일 | ||||||
슈베른란트 통일 전쟁 | 1508년 - 1509년 | ||||||
키르수스-그란치프 전쟁 | 1650년 - 1654년 |
인문 환경 | ||
인구 | 전체 인구 | 327,289,120명(1670년) |
인구 밀도 | 71.92명/km² | |
출생률 | 34.3명 | |
출생 인구 | 11,226,016명 | |
사망률 | 22.3명 | |
사망 인구 | 7,298,547명 | |
기대 수명 | 49.3 | |
성비 | 1.03 | |
민족 구성 | 인간 99.6% 슈베른-게이만 민족 88.3% 기타 11.6% 아인종 0.4% | |
공용어 | 키르수스어 | |
공용 문자 | 슈베른 문자 | |
종교 | 황제교 94.7% 정통교 23.8% 개혁교 70.9% 기타 5.3% | |
군대 | 키르수스 황립군 | |
세부 군대 | 육군 | 키르수스 황립육군 |
해군 | 키르수스 황립해군 | |
공군 | 키르수스 황립공군 | |
기타군 | 키르수스 황립향토방위군 | |
군비 | 예산 | |
GDP 대비 | ||
정부 예산 대비 | ||
기타 |
행정 구역 | ||
행정 구역 | 주 | 16개의 주 |
현 | 33개의 현 | |
군 | ---개의 군 |
경제 | ||
경제 체제 | 혼합 경제 | |
GDP | 전체 GDP | 2조 5070억 3465만 ℳ |
1인당 GDP | 7,660 ℳ | |
화폐 | 공식화폐 | 폴리거마르크 (ℳ) |
환율 | 1ℳ = 금 약 358mg | |
국가 예산 | 1년 세입 | |
1년 세출 | ||
통계 자료 | 경제성장률 | |
물가성장률 | ||
고용률 | ||
실업률 |
단위 | ||
단위 | 법정연호 | 건국력 |
날짜형식 | MM-DD-YYYY | |
통행방향 | 우측 | |
운전석 | 좌측 |
키르수스 제국(키르수스어: Kircusses Foligerreich 키르쿠세스 폴리거라이히) 혹은 키르수스(키르수스어: Kircuss 키르쿠스)는 헤스페로스벨트에 위치한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서쪽으로 에르미니아와 남쪽으로 베른하이어와 ___, 코르보날, ___, ___, 게파르토와 동쪽으로 그란치프와 공화국 연맹이 위치한다. 수도는 카스텔부르크이며, 슈베르부르크, 발츠부르크, 루티지, 호피히스부르크, 아우스하펜 등의 대도시가 있다. 키르수스의 영토는 4,550,350km²이며, 기후는 주로 온대 기후를 보인다. 인구는 1670년 기준으로 327,289,120명이며, 인간이 전체의 99.9% 이상을 차지한다, 공용어는 키르수스어를 사용한다.
약 90만 년 전부터 인류가 거주하기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암흑력 10세기 쯔음에는 비셴란트에서 이사른인에 의해 철기 문화가 발달하기도 하였다. 암흑 546년, 하인츠 1세가 슈베르부르크에 슈베로니아 왕국을 건국하였고, 슈베로니아 왕국은 비셴란트를 통일하며, 결국 현재 슈베른란트라 불리는 지역을 통일한다. 건국 원년, 슈베로니아 제국이 된 슈베로니아 왕국은 운타란트를 정복하였으나, 계속된 반란으로 쇠퇴해 557년에 시작된 게이만족의 대이동 이후 582년에 멸망하였다. 슈베로니아 제국 멸망 이후 슈베른란트에는 게이만족 부족 공동체 뿐 아니라 슈베른인 공동체 또한 우후죽순으로 생겨났다. 그러던 611년, 플로아니아 왕국의 오토 1세가 스톰강을 평정하고 슈베른란트의 주요 부족들을 통합한 아슈트카이트 영방국가연합을 설립한다. 아슈트카이트 영방국가연합은 황제를 각 왕국과 변경 국가들이 한표를 행사하여 선출하였다. 아슈트카이트 영방국가연합은 연합의 단점을 안고서도 슈베로니아 제국을 이어 헤르페로스벨트의 강대국으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1237년부터 1248년 사이 동안 치뤄진 대영방전쟁에서 패배해 헤르페로스벨트의 패권을 잃고 동서굴욕을 겪으며 연합 내에서 분열이 발생한다. 결국 굴욕과 부흥 전쟁에서 라우지츠부르크 왕국의 부흥파가 승리하면서 611년 이후 600년간 아슈트카이트 영방국가연합을 지탱해오던 협약체제가 무너지고, 부흥파 사이에서도 연합의 주도권을 가지고 갈등이 벌어져 40년 전쟁이 발발하였다. 40년 전쟁은 라우지츠부르크 왕국의 승리로 종식되었으며, 1423년, 아슈트카이트 영방국가연합은 해체되고 키르수스 제국이 건국된다.
키르수스의 황제는 키르수스의 정치권, 군사권, 외교권을 지니고 키르수스 제국수상의 임명권 또한 지녔다. 헤르베르트 3세가 현재 제위중에 있으며, 법정 계승자는 지크프리트 황태자이다. 키르수스 제국수상은 하인리히 지크프리트 에두아르트 폰 산츠베르크으로, 키르수스 제국수상은 키르수스 제국내각을 구성하고 키르수스 제국의회를 주재한다. 키르수스 제국의회는 양원제로, 키르수스 제국상원과 키르수스 제국하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키르수스 제국상원은 33명의 각 현들의 대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국의 여러 중대한 사항들을 검토하였다. 키르수스 제국하원은 ---명의 직접선거로 선출된 국민의 대표들로 구성되어, 예산안 등의 권한을 제외하고는 권한을 지니지 못하였다. 키르수스의 법원은 삼십제에 의거하여 키르수스 제국대법원, 키르수스 제국중법원, 키르수스 제국소법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키르수스 제국대법원은 총 -명의 종신의 임기를 지닌 제국대법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역사
이 부분의 본문은 키르수스의 역사입니다.
암흑 546년, 클레니가의 하인츠 1세에 의해 슈베르부르크를 수도로 하는 작은 도시 국가인 슈베로니아 왕국이 건국된다. 슈베로니아 왕국은 라이탈부르크 전쟁과 플라니아 전쟁을 거치며, 스톰강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해갔다. 암흑 283년, 스톰강과 아미시아강 사이에 위치한 강대국인 샤르페스 왕국과 무역과 관련하여 마찰로 인해 부르가 전쟁이 발발한다. 부르가 전쟁은 약 130년 동안 2차례에 걸쳐 발생하여 슈베로니아 왕국의 승리로 종전되었으나, 제1차 부르가 전쟁 도중 클레니 왕조의 대가 끊기면서 구스타프 1세의 가스트 왕조가 슈베로니아 왕국의 왕가가 된다.
건국 원년, 구스타프 3세는 슈베로니아 제국을 선포한다. 슈베로니아 제국은 슈베로니아-팔로렌스 대전과 1,2차 갈고 전쟁을 거치며, 헤르페로스벨트의 강대국으로 부상하게 된다. 슈베로니아 제국은 운타란트에 대해 계속적인 점령 전쟁을 펼치며 결국 운타란트 해안까지 다다르게 된다. 그러나 통치 50년도 지나지 않고 원주민들의 반란으로 운타란트 전쟁이 발발하면서 슈베로니아 제국은 급격하게 쇠퇴해 갔다. 60년에 가까운 전쟁은 결국 슈베로니아 제국의 승리로 끝이 났으나, 이로 인해 슈베로니아 제국은 쇠퇴기에 접어든다. 결국 557년, 게이만족이 슈베로니아 제국의 국경을 침입하여 582년, 슈베로니아 제국은 멸망하게 된다.
슈베로니아 제국 멸망 이후 슈베른란트는 수많은 군소 부족 국가가 난립하는 혼돈에 빠졌다. 그러나 610년에 스톰강 인근을 정복하여 플로아니아 왕국을 오토 1세가 건국한다. 오토 1세를 중심으로 611년 5월 18일, 스톰강의 한 무인도에서 약 50여개의 부족대표가 참여한 스톰강 협정이 체결된다. 이 협정으로 인해 10개의 왕국과 4개의 변경국가로 이루어진 아슈트카이트 영방국가연합이 탄생하게 된다. 스톰강 협정은 아슈트카이트 영방국가연합을 통솔하는 황제를 각 왕국이 돌아가며 선출하기로 한다. 아슈트카이트 영방국가연합은 "협약체제"로 인해 내부의 안정을 찾으며, 점차 성장해 나간다. 그러나 1237년부터 1248년까지 치뤄진 대영방전쟁에서 큰 피해를 입고 패배하면서 "협약체제"에 금이 간다. 1269년 동서굴욕을 겪으며 결국 "협약체제"는 완전히 파괴되었으며, 라우지츠부르크 왕국을 중심으로 하는 부흥파와 알덴부르크 왕국을 중심으로 하는 황제파로 분열되어 굴욕과 부흥 전쟁이 발발한다. 전쟁은 5년간 계속되었으며, 결국 부흥파가 승리함으로써 "부흥체제"가 "협약체제"를 대체하는데 성공한다. 그러나 이 "부흥체제" 또한 부흥파 간의 갈등으로 인해 40년 전쟁을 거치며 붕괴되었고, 결국 라우지츠부르크 왕국을 중심으로 하는 "__체제"로 대체된다. 1423년, 라우지츠부르크 왕국은 키르수스 제국을 선포함으로써 아슈트카이트 영방국가연합은 붕괴되고 라우지츠부르크 왕국을 제외한 11왕국은 전부 키르수스 제국의 주로 합병된다.
키르수스 제국은 슈베로니아 제국의 후계자를 주창하며, 제국주의 대열에 합류하게 된다. 1650년의 키르수스-그란치프 전쟁으로 키르수스 제국은 완전히 제국주의 대열에 합류한다.
2. 지리
이 부분의 본문은 키르수스의 지리입니다.
3. 정치
이 부분의 본문은 키르수스의 정치입니다.
키르수스는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국가로 키르수스의 황제는 키르수스를 대표하며, 행정권을 가진다. 제국수상은 황제에 의해 선출되어 제국내각을 조각한다. 입법원은 키르수스 제국의회로 매 4년 마다 소선구제로 치뤄지는 선거를 통해 594석의 제국의원을 배출한다.
3.1. 키르수스 황제
키르수스의 황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키르수스 황가는 황제와 그 일가를 일컫는 말이다. 키르수스 황가는 마그리히가로, 페스트부르크 백국의 에른스트 폰 페스트부르크를 시초로 본다. 이후 마그리히가의 페스트부르크 백국은 오타카레 왕국에 흡수되었고, 마그리히가의 라인하르트 폰 페스트부르크는 라우지츠부르크 왕국의 봉신으로써 카스텔부르크 백작령을 수여받는다. 1327년, 동방 전쟁으로 공을 세운 고데하르트 폰 카스텔부르크는 동방 전쟁으로 공석이 된 라우지츠부르크 왕국의 왕위를 상속받는다. 이후 마그리히가의 라우지츠부르크 왕국은 40년 전쟁으로 아슈트카이트 영방국가연합의 패권을 잡는데 성공한다. 1423년 1월 18일, 라우지츠부르크 왕국의 헤르베르트 폰 라우지츠부르크는 키르수스 제국을 선포하면서 키르수스의 황제에 오르게 된다.
3.2. 제국정부
이 부분의 본문은 키르수스 제국정부입니다.
이 부분의 본문은 키르수스 제국수상입니다.
이 부분의 본문은 키르수스 제국내각입니다.
제국정부는 키르수스의 중앙 정부로 역할에 따라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로 나뉘어 진다. 이들은 제국수상을 수반으로 한 제국내각에 의해 주도된다. 제국수상은 황제에 의해 선출되어, 제국내각을 구성한다. 수상의 임기는 법적으로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제국수상 스스로 사임을 표하거나, 황제에 의해 해임될 경우에 수상직이 교체된다. 키르수스 제국내각은 총 9개의 부와 11명의 각료로 이루어져 있다.
3.3. 제국의회
이 부분의 본문은 키르수스 제국의회입니다.
3.4. 정당
이 부분의 본문은 키르수스의 정당입니다.
4. 행정 구역
이 부분의 본문은 키르수스의 행정 구역입니다.
키르수스는 16개의 주와 그 아래에 33개의 현, 289개의 군과 수천개의 구로 이루어져 있다.
- 알레마니아주 (Alemannia)
- 아미시아란트주 (Amisialand)
- 아스크라리아주 (Askraria)
- 블린단텐주 (Blindanten)
- 드라이히주 (Dreich)
- 엔브라주 (Enbra)
- 플라니아주 (Flania)
- 프레니아주 (Frenia)
- 카스텔부르크주 (Kastelburg)
- 크리베스란트주 (Kriwesland)
- 쿤트부르크주 (Kundburg)
- 퀴스테주 (Küste)
- 라우지츠부르크주 (Lausitzburg)
- 오타카레주 (Otakare)
- 지틀란트주 (Sietland)
- 쥐델라네주 (Südellane)
5. 경제
이 부분의 본문은 키르수스의 경제입니다.
6. 국방
키르수스 황립군 문서를 참고하세요.
7. 문화
8. 교통
9. 사회
10. 대외관계
11.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