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른하이어 공국] 베른하이어 공국 ( 79 판 )
베른하이어 공국의 위치 | ||
Herzogtum Berünhaior 베른하이어 공국 | ||
Die seele, die von freiheit, und wahrheit singt 자유와 진리를 노래하는 영혼 | ||
탄생~멸망 | ||
건국력 608년(노르펠트·베른하이어 연합)~현재 | ||
상징 | ||
국가 | ||
국화 | 물푸레나무꽃 | |
국조 | 물수리 | |
행정구역 | ||
수도 | Ötelshubyor 외텔슈비어 | |
제 1단계 | 3개 지방 | |
제 2단계 | 10개 주, 2개 특별시 | |
제 3단계 | 63개 시, 11개 특별구 | |
역사 | ||
노어펠트·베른하이어 연합 | 건국력 608년~975년 | |
라그렌센트 연합왕국 | 건국력 975년~1501년 | |
베른하이어 공국 | 건국력 1501년~현재 | |
정치 | ||
정치체제 |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과두제(비공식) | |
대공 (국가원수) | 다니엘 베른하이어 | |
국무위원장 (정부수반) | "지오스트리" 카를 무어 | |
집권기관 | Konfergenz Jiostrei 지오스트리 대회의 | |
경제 | ||
경제체제 | 자본주의식 시장경제 | |
공식화폐 | 플리거마르크 (ℳ) | |
ℳ당 환율 | 1ℳ = 1ℳ | |
GDP(1971년) | 명목 GDP: 231,611,221,995ℳ 1인당 GDP: 17,999ℳ | |
지리 | ||
면적 | 312,100km² | |
내륙국/해안국 여부 | 해안국 | |
내수면 비율 | 4.88% | |
접경국가 | 키르수스 제국, 코르보날계 군벌들, 에르미니아 합중국 | |
자연환경 | ||
대륙 | 헤스페로스벨트 서부 | |
기후 | 온난건조 기후 | |
연중기온 (최고 / 최저) | 26℃ / -1℃ | |
연중강수량 (최고 / 최저) | 48mm / -mm | |
최고고도 | 1,878km | |
인문환경 | ||
인구수 | 12,868,005명 | |
인종구성 | 인간 86.8%, 블제런트 10.9%, 키이 1.3%, 기타 2.0% | |
인구밀도 | 33명/km² | |
출산율 | 0.96명 | |
공용어 | 키르수스어 | |
공용문자 | 라틴문자 |
1. 개요
베른하이어 공국(Herzogtum Berünhaior) 또는 베른하이어 법치국(Rechtsstaat Berünhaior)은 헤스페로스벨트 남단에 위치한 입헌군주제 국가이자, 키르수스 제국의 독립공국이다. 과거 슈베로니아 제국의 귀족 가문이었던 노어펠트 공작가와 베른하이어 공작가가 제국 멸망 이후 세력을 통합한 노어펠트·베른하이어 연합에서 기원했다. 수도는 외텔슈비어이며 현재 최고의 학자에게만 부여되는 칭호, 지오스트리 9인에 의해 통치받고 있다. 북으로는 키르수스 제국, 동으로는 코르보날 군벌, 서로는 에르미니아 합중국과 접경해 있다. 국가차원에서 교육과 기술을 매우 장려하여 교육 수준이 높고 중공업과 통신기술이 발달해 있다. 총 8개의 령과 2개의 특별시로 이루어져 있다.
2. 상징
2.1. 국호
베른하이어 공국(Herzogtum Berünhaior)이라는 국호는 1509년, 슈베른란트 통일전쟁에서 패배한 예그리우스 2세가 키르수스로부터 독립국임을 인정받는 조건으로 키르수스 제국의 공작위를 서임받으면서 기존의 라그렌센트 연합왕국(Ragrencènt Vereinigteshofigreich)이 공국으로 격하되면서 당시 왕가였던 베른하이어 가문의 이름을 따서 정해졌다. 대공가인 베른하이어 가문과 지오스트리 대회의에서는 공식 국호를 베른하이어 공국으로 규정하고 있지만, 1627년, 추성협상을 기점으로 절대군주제 시기와 입헌군주제 시기를 구분하기 위해 일부 학회나, 협회, 언론 등에서는 베른하이어 법치국(Rechtsstaat Berünhaior)이라는 국호도 비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2.2. 국기
베른하이어 공국의 국기 |
현재 사용되고 있는 베른하이어 공국의 국기는 건국력 1637년, 추성협상 이후 지오스트리 대회의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1645년에 색상이 약간 수정되었다. 푸른 배경에 흰색 별 13개와 띠, 국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단 13개의 백색성(白色星)은 베른하이어의 위대한 학자, 지오스트리 13인을 상징하며, 하단의 흰 띠는 자유를 의미합니다. 국장은 월계수 잎과 책으로 이루져 있는데, 월계수잎은 지혜와 영광을 상징하며 중앙에 책에는 베른하이어 공국의 국호와 표어가 적혀있다.
3. 행정구역
베른하이어의 행정구역은 다음과 같은 3단계로 구분된다.
제 1단계 | 3개 지방 |
제 2단계 | 10개 주, 2개 특별시 |
제 3단계 | 63개 시, 11개 특별구 |
자세한 내용은 베른하이어 공국/행정구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1. 지방
베른하이어에는 다음 3개의 연방이 있다.
-애너비번(Anerveebern) 지방
-오스트스타이거(Ostersteiger) 지방
-멜버라인(Mhelbeline) 지방
3.2. 주
베른하이어에는 다음 10개의 주가 존재한다.
3.3. 특별시
베른하이어에는 다음 2개의 특별시가 존재한다.
-외텔슈비어(Ötelshubior) 특별시
-에스트리세어(Estrieser) 특별시
3.4. 시, 특별구
4. 역사
자세한 내용은 베른하이어 공국/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정치
베른하이어의 정치체제는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다. 국가원수는 베른하이어 공작가 58대 가주이자 현 베른하이어 공국 대공인 다니엘 베른하이어이며, 정부수반은 지오스트리 대회의의 일원이자 현 베른하이어 국무위원장인 "지오스트리" 카를 무어이다.
자세한 내용은 베른하이어 공국/정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경제
주변국들에 비해 적은 안구와 부존자원 등의 불리한 조건을 식민지배와 무역, 기술 개발 등을 통해 극복한 헤스페로스벨트의 부국이다. 1인당 GDP가 17,999ℳ로 키르수스, 프리슬란드 등을 제치고 무려 세계 1위에 달하며 교육수준이나 과학기술력도 세계 최상위 수준이다.
자세한 내용은 베른하이어 공국/경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