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무제국] 한무제국 ( 11 판 )
한무제국 韓撫帝國 | ||
국기 | ||
국장 | ||
성립 이전 | ||
화진(華眞) | ||
수도 | 한성부 | |
최대도시 | 한성부 | |
상징 | ||
국가 | 애국가 | |
국화 | 요얏꽃 | |
표어 | 광명천지(光明天地) | |
정치 | ||
정치 체제 | 전제군주제 | |
역대황제 | 초대 | 태종 (건국력 1534~1577) |
2대 | 성종 (건국력 1577~1644) | |
3대 | 광무제 (건국력 1644~) | |
연호 | 건양 | 태종 (건국력 1534~1577) |
덕성 | 성종 (건국력 1577~1644) | |
광무 | 광무제 (건국력 1644~) | |
역사 | ||
건국력 1566년 | 칭제건원 | |
건국력 1568년 | 한무제국 국제 반포 | |
건국력 1570년 | 원수부 설치 | |
건국력 1577년 | 덕성제 즉위 | |
건국력 1591년 | 제 2차 군제개혁 | |
건국력 1613년 | 병오전쟁 (건국력 1613~1621) | |
건국력 1643년 | 제 3차 군제개혁 | |
건국력 1644년 | 광무제 즉위 | |
건국력 1649년 | 임오조약 | |
건국력 1664년 | 제 4차 군제개혁 | |
건국력 1675년 | 북양전쟁 무신전쟁 | |
건국력 1676년 | 기유약조 | |
건국력 1677년 | 유월원정 경술전쟁 | |
건국력 1679년 | 무신전쟁 종전 | |
건국력 1682년 | 경술전쟁 종전 | |
경제 | ||
화폐 | 환 | |
경제규모 | GDP | 813억 7,730만$ (1672년) 1627억 5640만환 (1672년) |
1인당 GDP | 6,076 (1672년) 1900환 (1672년) | |
인문환경 | ||
면적 | 1,196,725km² | |
인구 | 총인구 | 9,573만 8000명 |
인구밀도 | 80명/km² | |
공용어 | 근대 한무어,한문 | |
공용문자 | 한글,한자 | |
행정구역 | 13도 6부 1목 | |
종교 | 유교 | |
불교 | ||
천도교 |
개요
한무제국(韓撫帝國)은 건국력 1566년 10월 12일부터 사용된 화진(華眞)의 국명이다. 17대 국왕 태종이 황제(皇帝) 에 오르고 국호를 한무(韓撫)로 변경하였다.
상징
한무제국의 상징요소는 국호, 국기, 국가, 국장 이 있다.
국호
국명은 한무제국(韓撫帝國)으로, 한(韓)은 한무민족과 그 민족의 거대함을 동시에 상징하며, 무(撫)는 이러한 존재를 어루만지다는 뜻을 담고 있으며, 합쳐서 국가의 신민인 한무민족을 크게 어루만진다는 의미를 지닌다.
‘한무제국’이라는 국호는 ‘한무국’과 혼용되며. 약칭으로는 한무와 한국이 사용된다.
영어명으로는 Empire of Hanmu 나 Hanmu Empire 이 통용된다.
국기
자세한 내용은 태극기 문서를 참고하시오.
국가
자세한 내용은 한무제국 애국가 문서를 참고하시오.
국장
황실의 상징이자 국가를 상징하는 문장은 어화문 이다.
역사
자세한 내용은 한무제국의 역사를 참고하시오.
자연환경
국토 면적
지형
자연재해
생태환경
동물종과 식물종 모두 사람의 목숨을 심각하게 쉽게 해치는 맹수나 독충, 독초가 거의 나지 않는다.
특히 성종시기에 신민의 안전을 위하여 위협을 끼칠 가능성이 있는 맹수들을 대대적으로 토벌하는 대규모 해수구제사업을 단행했으며, 국토 전체를 개편하는 수준의 근대화 사업으로 인해 맹수는 한무제국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그 밖에도 고라니, 너구리나 삵, 족제비와 쥐, 다람쥐, 두더지, 박쥐 같은 포유류나 개구리, 두꺼비, 도롱뇽과 같은 양서류가 있고 새나 곤충의 수도 다양한 편이다. 조류는 527종, 포유류는 125종, 곤충은 18,158종 식물계는 7,833종이 존재한다고 보고되었다 .
기후
기후대가 매우 다양하다. 한무제국은 냉대기후와 온대기후로 나눌 수 있다. 전체적으로 사계절의 변화가 규칙적으로 이루어지는게 특징이며 연교차는 평균적으로 25~30°C 정도이다. 지역에 따라 30~40°C까지 벌어지는 경우도 있다.
강수량은 연간 1,200~2,000mm 정도로 매우 많지만, 이중 50~70%가 여름에 집중되어있다. 그래서 한무의 여름은 고온다습하며 체감온도가 높다. 또한 여름에 집중되는 강수로 인해 홍수 피해가 잦고 하천의 하상계수가 커서 안정적인 수자원 확보가 힘들다. 그래도 기온이 높고 비가 많이 오는 여름이 있어 벼 제배가 가능하다.
반면 겨울은 한랭건조한 기후가 나타난다. 그래서 산불 등 화재 사고가 빈번하다.
자원
자세한 내용은 한무제국의 자원을 참고하시오.
인문환경
인구
한무제국의 인구는 건국력 1672년 기준 대략 9573만 명으로 세계 00위에 해당한다. 인구밀도는 80명/km2 정도로 세계 00위다.
평균 수명
한무제국의 평균 수명은 1672년 기준으로 53.6세이다. 남성의 평균 수명은 51.4세이고 여성의 평균 수명은 55.7세이다.
언어
한무제국의 공용어는 한무어이다.
종교
자세한 내용은 한무제국의 종교를 참고하시오.
교통
자세한 내용은 한무제국의 교통을 참고하시오.
행정구역
한무의 행정구역은 13도 6부 1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치
자세한 내용은 한무제국의 정치를 참고하시오,
경제
자세한 내용은 한무제국의 경제를 참고하시오.
사회
자세한 내용은 한무제국의 사회를 참고하시오.
문화
자세한 내용은 한무제국의 문화를 참고하시오.
군사
자세한 내용은 한무제국군 문서를 참고하시오.
단위
한무제국은 다양한 단위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법정연호
한무제국 선포 당시 건양제가 기존의 기년법을 폐지하고 건국력을 채택하여 현대에 이른다.
시간대
한무제국 전 지역은 한무제국 표준시를 사용하고 있다.
도량형 및 산업규격
공식적으로는 SI 단위를 사용하며, 대규모 경제, 산업에서 SI 단위가 준수된다. 일상생활에서는 길이와 몸무게에만 SI 단위가 완벽히 준수되고 있으며 그 밖에는 전통적인 단위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